[스크랩] 철판신수
20. 소옹(邵雍)의 역
자는 요부(堯夫 1011년 ~ 1077년), 스스로 지은 호는 안락선생으로 중국 북송시대의 명리학자, 상수학자, 철학자이다. 사망이후 후세의 사람들이 그를 추모하며 강절(康節)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이유는 살아생전에 성품이 따뜻하고 선량하다하여 강(康)이라 하였고, 나라로부터 높은 직위를 두 번이나 추대 받았으나 모두 사양하고 은둔하여 스스로의 뜻을 굽히지 않고 고수하였다하여 절(節)을 붙여서 강절로 더욱 알려져 있다.
주요 저서로는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어초문답(漁樵問答), 매화역수(梅花易數), 철판신수(鐵版神數) 등이 있다.
소옹은 유가 및 도가사상에도 밝았는데 특히 도가사상의 수의 개념을 주역에 대입 발전시켜 상(象)을 수(數)로 귀결하였다. 그리하여 상수계통에 최고의 법칙을 만들어서 상수철학을 세웠다. 이는 우주형성의 발전과정을 형상으로만 설명하던 이전의 방식을 탈피하고 숫자의 방정식으로 하였다. 보통 상수역학은 비밀스럽게 전수하며 내려오는 책으로 철판신수(鐵版神數), 소부자신수(邵夫子神數), 준자신수(蠢子神數)가 있다. 그중에서도 상수역학으로는 철판신수가 단연 으뜸에 속한다.
철판신수는 황극경세의 계산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쓰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주가 되는 것은 역의 기본인 일월 즉 음양이며 다음이 신수(神數)가 되는 것이다. 또한 한 개인의 사주를 적용하여 괘를 세워 숫자를 얻을 때에는 필수적으로 본괘에 호괘를 적용하였으며 하도괘, 낙서괘와 더불어 경방의 납갑괘와 혼합된 간지의 적용, 자평추명법(子平推命法), 납음간지(納音干支), 괘기치일(卦氣値日), 10성12음, 성명수(星命數), 선천책수(先天策數),회남자의 여율궁상수(呂律宮商數) 등에 3식인 태을신수, 기문둔갑, 대육임의 원리, 자미두수의 신살(神殺)까지 역의 모든 부분을 적용하여 종합적 예측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상수역학에 모든 것을 바쳐 역의 이치를 하나로 꿰뚫은 소옹이 아니면 이루어 낼 수 없는 업적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매화역수는 언급을 피하고 철판신수 푸는 방법 몇 가지를 간략하게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