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연진결/홍연진결 제4장 지리편

[스크랩] 23. 전라도 손방의 분야 손상수巽上數 입중출건도(홍연진결 86쪽)

참빛살 2010. 10. 9. 23:28

23. 전라도 손방의 분야 손상수巽上數 입중출건도(홍연진결 86쪽)

(전라도는 손방의 분야가 되니 손궁 위의 수를 중궁에 넣고 건궁으로 나가는 도이다. 홍연진결 86쪽)

경정천충

임경/경천금

무임천봉

정계천주

/병천임

을무천영

계기천심

기신천예

신을천보

위 전라도 손방의 분야 손상수 입중출건도의 수정국

경정천봉

임병/경천심

무임천임

정계천영

/병천예

을무천보

계기천금

기신천주

신을천충

(위 조선 간상수 입중 출건도의 손상수 정/병 천심은 잘못된 것이다. 홍연진결의초간본과 재간본에도 모두 9궁의 9성이 잘못 기재되어 있다. 위 조선 간상수 입중출건도의 수정국에 따라 먼저 정/병,천예를 중궁에 넣고, 다음 봉예충보금심주임영의 순차에 의거하여 건궁에 천충, 태궁에 천보, 간궁에 천금, 이궁에 천심, 감궁에 천주, 곤궁에 천임, 진궁에 천영, 손궁에 천봉으로 각각 정정하여 기재한다. 역자 주.)

시가기문은 중궁이 부두이면 사문이 직사가 되고, 천금 천예가 직부가 되어 동궁에서 나온다. 천예 천주 천심 천봉 천임 천충 천보 천영으로 계산하여 나가고, 천금 천봉 천임 천충 천보 천영으로 계산하여 나가지 않는다.(천예 천주 이하는 위 도표에서 수정한 바와 같이 차오가 있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를 “천예 천충 천보 천금 천심 천주 천임 천영 천봉으로 계산하여 나가고, 천보 천예 천심 천주 천금 천봉 천영으로 계산하여 나가지 않는다.”라고 수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역자 주.) 이 일가기문도 또한 이 시가기문과 같이 동일하게 사용한다.


내가 이르되 경기도는 33관이고, 충청도 54관, 전라도는 56관, 경상도는 71관, 황해도는 23관, 평안도는 42관, 강원도는 26관, 함경도는 24관이다. 모두 합하면 329주이다. 또 경기에 경도 수원 광주 강화 송도를 넣고, 또 황해도에 다시 우봉 1읍을 넣는다. 다시 모두 합하면 334주이다.

풀어서 말한다. 금산은 진방의 항수 3도에 속하고,(이 진항辰亢 또는 진방의 항수는 위 28수총도 중에 손방의 사익巳翼 사진巳軫 손각巽角 진항에 유래하므로, 항수의 근원을 총도의 진항에서 인용하다 보니 붙여서 진항이라 한 것이며, 이 진자에 특별한 뜻은 없다. 또 3도는 위 전라도 손분도 중에 간방의 항수 3도에 의거한 것이다. 역자 주.) 진방의 항수는 9궁의 손궁에 속한다.

대개 천하의 연국으로 우리나라를 유추하는 데는 간인궁艮寅宮 위에 3기와 6의 8문을 중궁에 넣고 우리나라의 전국全局을 유추한다. 우리나라 국의 손방 수의 3기와 6의 8문을 중궁에 넣고 그 전라도의 국을 유추한다. 손궁은 전라도에 나열한 읍에 속한다. 손궁의 각항익진의 4수를 합하면 56도이고, 배열하면 1국의 원도圓圖를 이루며, 8방으로 나누면 매양 방위마다 7도가 속한다. 그러나 건곤간손에 4유四維가 있는데 조금 간격이 넓기 때문에 1도를 더하면, 건곤간손의 간방間方이 8도가 되고 감리진태의 정방正方이 6도가 된다.(이는 전라도 손분도를 말하는 것이다. 역자 주.)

지금 이 손분도의 56도를 본 손궁에서 일으키고, 각수로 도수를 시작하며, 오른쪽으로 돌아서 원도를 이루고, 8방으로 나누어 만들면, 금산이 손분도의 간방 초도에 속한다. 금산이 간방에 있기 때문에 간방의 수를 다시 중궁에 넣고 포국한다. 또 그 중에 유추하여 금산의 전국을 얻는다. 간방에 8읍이 속하고 금산은 항수 3도에 속하는데, 이를 간방의 초도初度에 부치고, 오른쪽으로 돌면서 매 1궁마다 1도를 부친다.

대체로 중원의(천하국이다.) 연국으로 우리나라 간방을 유추하고, 다음 간국艮局으로 전라도 손분도를 유추하며, 다음 손분도로 금산의 간궁을 유추하고, 금산의 간국艮局 안에서 또 유추하여 금산의 1개 전국을 얻는다. 이것이 중원 연국에서 5번 변화하여 금산의 전국이 되는 것이다. 기타 각 도와 각 읍도 그 분야를 따라서 모두 이를 본받아 유추한다.

또 각 읍의 8방으로 그 소재하는 면을 유추하고, 다시 소재하는 면의 8방으로 그 소재하는 리를 유추하면, 생문과 호아방 사문 관겁방 생기 복덕 화해 절명이 어느 나라에 있고, 어느 도에 있으며, 어느 읍에 있고, 어느 면에 있으며, 어느 리에 있어서, 어느 방위가 되는가를 알 수 있다. 도수를 일으키는 법은 매양 본 방위에서 머리를 일으킨다. 대체로 각 도와 각 읍에 관장의 득실과 인민의 고락, 연사의 풍작 흉작, 홍수와 가뭄, 바람과 서리 등 모든 재난과 상서를 아울러 모두 안다.

출처 : 홍연진결연구소
글쓴이 : adaseju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