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2. 택묘부宅墓賦(홍연진결 69쪽)
2. 택묘부宅墓賦(홍연진결 69쪽)
무릇 24방위가 자에서 1이고, 계는 2, 축은 3, 간은 4로 차례차례 계산하여 24의 수에 이른다. 좌산과 향산 득수 파수를 합계하여 9로 나누고, 나머지 수를 중궁에 넣고 감궁으로 나가서 순행하여 포국한다. 가령 득수가 양3이 되고 파수가 양3이 되면 아울러 양3의 수를 합계하여 취한다.
대개 좌산을 위주하여 길흉을 왕휴旺休에서 고찰하는데, 좌산이 왕한 땅이면 대부이고, 좌산이 생하는 땅이면 자손이 많으며, 좌산이 관대의 방위이면 대귀하고, 좌산이 태양의 방위이면 또한 좋으며, 사절死絶의 방위에 임하면 대흉하고, 도화에 있으면 음욕을 행하며,(도화는 곧 목욕이다.) 병운이면 또한 좋지 않고, 쇠운이면 좋을 것도 없고 좋지 않을 것도 없다.
생기는 자손이 많고, 복덕은 부귀하며, 천의는 길하여 평안하고, 절체는 병이 많으며, 유혼은 소란스럽고, 절명은 화액을 초래하며, 화해는 화해를 위주하고, 귀혼은 자취를 감춘다.
다시 장차 좌산의 수운數運은 어떠한가? 득수得水에서 음양을 나누고, 태와 양 생으로 순행하고 역행하는(양은 순행하고 음은 역행한다.) 그것이 운이 된다. 자손이 많고자 하면 생생의 운이고, 관대의 이 수水를 얻으면 작록爵祿이 쟁쟁함이 분명하며, 제왕의 운이 이 산에 있으면 부귀를 겸전하고 자손이 많으며, 쇠운도 또한 그와 같이 쓸 수 있으니, 부유할 수도 있고, 귀할 수도 있으며, 자손이 있기도 하다. 목욕이 되면 어떠한가? 남자는 실패하고 여자는 음행한다. 또 득수에 병운이 되면 후손으로 태어난 자가 병이 많다. 사와 절 묘의 운이 가장 흉하여 후손이 끊어지거나 자손이 흉함이 분명하다.
또 좌산의 수로 그 운을 살펴본다. 파수는 오직 고장庫藏에 있는 자가 대길하고, 병과 사 절의 운도 또한 좋으며, 목욕은 또한 그 다음이고, 쇠의 운은 마땅히 그 부근과 비슷하며, 태와 양의 운에 태어나는 자는 난산이고, 관과 대의 운에 임하면 귀하기 어려우며, 제왕帝旺의 운이 파수에 있으면 빈한하고 궁핍하며 외롭다.
파수는 비록 길함을 만날지라도 마땅히 저축하고 머리를 돌려 달아나지 않으면 손을 맞잡고 절함이 좋으며, 득수는 비록 흉함을 만날지라도 마땅히 달아나고 뒤로 가서 돌아오지 않는 것이 또한 좋다.
무릇 주산을 위주하여 6친을 8방에서 나누고, 파수와 사수砂水가 재방財方에 있으면 재성이 응당 흩어지고 배필을 잃으며, 오는 물이 재방에 있으면 재가 응당 모이고 처가 어질다. 나쁘게 보임이 자손방에 없으면 자손이 반드시 현량하고, 괴상한 모양이 자손방에 나타나면 자손이 반드시 괴상하게 행패行悖한다. 길한 사수가 관방에 있으면 과거와 관작을 기대할 수 있고, 흉한 사수가 관방에 있으면 관재官災와 악질惡疾을 면하기 어렵다. 이러하면 그 대강을 논한 것이다. 나머지는 이를 본받아 유추할 수 있다.
거왕과 거생에 6친이 생기와 복덕이면 더욱 길하다. 쇠와 사 절의 운에 임하는 자는 어떻게 논할 것인가? 절명과 화해가 더욱 흉하다. 괘의 길흉을 서로 참고해야 한다. 길한 중에 흉하고 흉한 중에 길하다. 득수와 생기는 자손이 많고, 화해를 파괴하여 화해가 없는 자는 길괘를 만나지 못하면 도리어 흉하다. 득수인 자는 길한 방위를 얻으면 길하다. 파수는 흉운과 흉괘에 마땅하고, 득수는 길운과 길괘에 마땅하다. 좌청룡과 우백호는 왕휴의 임함으로 논하며, 길괘를 만나면 길하게 되고, 흉괘를 만나면 흉하게 된다.
1괘3산법一卦三山法과(임과 자 계는 감궁이고, 축과 인 간은 간궁이다. 8방이 대개 이와 같은 8괘를 갖추고 있다. 이를 의거하여 유추하고 본받는다.) 쌍산관운법雙山觀運法이다.(간인 갑묘 을진 손사로 차례차례 계산하여 임자 계축에 이르면 간지가 동일한 궁이 12궁이다.)
인신사해는 장남이고, 자오묘유는 중남이며, 진술축미는 막내아들이다. 어느 남자가 어떠한가는 이 분류를 의거한다. 좌산의 수가 향산에서 길운이고 길괘이면 부귀하고, 흉운이고 흉괘이면 흉하게 행패한다. 좌산이 일어나는 운은 차례차례로 수와 같이 계산하여 나간다. 45년이 소주小周이고 450년이 대주大周이다. 그와 같이 이 이치의 사례로 논한다.
어느 시진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행용行龍의 수를 수수首數에 넣고 합계하고 9로 나누어 성국한다. 그 생기가 있는 곳을 찾아서 재혈裁穴하고 앉히면 기묘하다. 연후에 좌향坐向으로 파수를 얻고서 다시 어떤 국을 만들어 논한다.
가령 경태庚兌 방위의 용이 신방申方에 입수入首하면, 경수庚數 태수兌數와 신수申數 2와 8을 중궁에 넣고 성국하고, 생기가 간궁에 있으면 간방을 따르며, 만일 혈증血證이 있으면 재혈裁穴하는 것이다. (경수 18과 태수 19, 그리고 신수 17의 수로 지8간2의 중궁수를 얻기가 힘들다. 아래 도표는 원문의 내용과 같이 일단 도표를 하나 만들었다. 다음은 수정국으로 경수 18과 태수 19를 합한 37을 9로 나누고 남은 수 1을 천수로 삼고, 신수 17을 9로 나누고 남은 수 8로 지수를 삼아서 지8간1의 중궁수를 얻은 것이다. 역자 주.)
지8간2 입중성국도 |
지8간1 입중성국도 | ||||
82천의 |
37 유혼 |
00귀혼 |
72절명 |
27화해 |
90생기 |
91 화해 |
28 |
55 복덕 |
81유혼 |
18 |
45절체 |
46생기 |
19 절명 |
64절체 |
36귀혼 |
09천의 |
54복덕 |
부모의 묘택은 어떠한가? 부모의 수를 중궁에 넣고(명리를 의거하여 지지는 순행하고 천간은 역행하여 성국한다.) 성국하여 10토이면 묘지가 되고 5토이면 가택이 된다. 10토 위가 길하면 묘지가 길하고, 5토 위가 길하면 가택이 길하다. 이는 모두 5수가 하늘의 정칙定則이니 어찌 이 규칙을 어기고 넘어가겠는가.
가령 사람의 명리 중에 부모의 수에 속한 숫자를 다시 중궁에 넣고, 10토가 임한 땅이 겸왕 거왕 승왕 수생 거생 승생하고 길한 문괘를 만나면 부모의 묘지가 대길하다. 이에 반하면 대흉하다. 이는 장자의 명리로 논하며, 차자는 적중하지 않는다. 무릇 길함이 많고 흉함이 적은 자는 길함이 많고 흉함이 적다. 흉함이 많고 길함이 적은 자는 흉함이 많고 길함이 적다.
10토가 임하는 곳이 좌산이 된다. 가령 좌산이 곤방이면 미신未申의 방위이다. 이 국으로 수水를 논하여 어느 방위에 있다가 흐르는가를 안다. 좌산을 위주하여 6친을 8방에서 논한다.(부모의 수를 중궁에 넣고 10토가 더하는 땅이 부모 묘지의 좌향이다. 이 국 안에 16의 수가 남쪽에 있으면 물이 남쪽으로 흐르고, 감궁에 있으면 물이 북쪽으로 흐른다.) 허다한 명리를 유추하여 보건대, 5토가 길하면 전장田莊이 많고 흉하면 전택田宅이 허물어지며, 10토가 길하면 명당으로 흉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