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청명강의내용

[스크랩] [2008년 6월 7일 청명님 강의] 합, 형충회합 16

참빛살 2008. 7. 4. 21:07

예문1)

乙 丁 丙 己

巳 卯 寅 酉   坤


※ 인성 혼잡 - 본기는 정인, 투간은 편인

 1. 관이 어떠냐 : 설 되느냐?

    ㉠ 무관은 보균자 → 관설에 대하여

    ㉡ 관이 오면 관이 살된다 → 남편의 단점이 보인다.

    ㉢ 이혼 할거냐? 별거 할거냐? → 무관이면 이혼이 쉽지 않다.

                                                    관운 지나야 이혼한다 (남편이 집착한다)

 2. 식의 상태 → 살(편관)에 대한 제압 능력을 본다

    ㉠ 제어력을 상실 했다 - 무서운 자를 피해 도망간다 (만만한 자에게)

    ㉡나의 허물을 덮어줄 사람에게 간다 → 올바른 사람이 아니다.

    ㉢ 인성혼잡되면 식신을 극한다 → 상관은 아니다 (조절은 정인이 한다)

                                                      식신은 망가뜨려도 상관은 조절 할수 있겠다.

 

甲 己 丁 辛

子 酉 酉 亥   남편


1. 월령 원진, 일지 상충 → 각방 쓴다 (이혼, 각방, 주말부부등)


壬 乙 壬 戊

午 亥 戌 申  애인


1. 戌월은  壬수가 크다 → 인다관설

2. 戊子년 재극인이 심해진다 → 재격이 인성운 오면 신경쇠약

                                              근심이 생겼다, 불만이 쌓인다.

3. 관운이 나쁘면 → 가정건사가 어렵다(처에게 시킨다)

                             한가지 일을 못한다(이직률이 높다)

4. 관운이 오면 열심히 하려고는 한다 → 잘 되는건 아니다.

5. 궁합 

   ㉠ 여자 정인격, 남자 정재격 (재극인)

   ㉡ 합은 들었다 → 연애는 한다

   ㉢ 격은 다르다 → 성격은 안맞다,

   ㉣ 3년쯤 뒤에 결혼 하면 된다 → 남자의 관설을 끝까지 확인해 봐야 한다.


※ 인성혼잡 여성이 만나야 할사람

    - 출장가는 자

    - 기러기 아빠

    - 첩으로 간다.

※ 인성혼잡에 관설이 합방하면

    - 신랑 망한다.

    - 낙향시킨다.

    - 일을 못하게 한다

    - 정신쇠약 걸린다.


※ 정관 - 잘사는 조상

    편관 - 별 볼일 없는 조상 , 식을 건드리면 깨진 조상


※ 정인이 양인을 걸치면 상관을 제어 한다

    편인이 양인 을 걸치면 식신을 때려 잡는다.

    상관이 양인을 걸치면 아무도 막으면 안된다.


예문2)

0 戊 丙 壬

0 辰 午 子    坤

 

1. 살이 제화가 되었다

2. 관이 와도 관설이 잘 되지 않는다.

 

0 戊 丙 壬

0 寅 午 子    坤

 

1. 제어하는 壬수를 올해 戊토가 망가뜨렸다 → 편인이 관을 급하게 빨아간다.

2. 문서가 망가졌다 → 제값을 못받는다.

 

※ 火가 길게 가려면 未토가 있어야 한다.

    辰戌丑未는 오행이 길게 가는 마무리


※ 戊     → 주

    午월   → 종

 (丙己丁) → 본심은 己토에 가있다

 - 火生土 하지만 마음은 두 개다 → 丙=물질        

                                                    丁=애정(마음) : 물심양면으로 戊토를 생한다

 - 己토 = 이득. 분배

 - 나를 생해야할 종이 다른 마음을 가지고 있다 → 이사, 개업, 이동 하면 망한다

 - 올해 월운  辛 庚 己 戊

                    酉 申 未 午    생이 안되서 망할 놈은 확실히 망한다.

 - 천간지지가 간여지동으로 운이 오면 → 악재가 몰려 다닌다.

 - 천간지지가 개두절각으로 운이 오면 → 호사다마

 - 천간지지가 상생으로 운이 오면 → 설상가상


※ 從 - 완성체

   局 - 편중 오행의 무리들

   • 원국 : 큰인물이 되려면 → 격이 커라

              격용이 격보다 크면 → 과욕을 부린다

                                               타고난 태생은 열악한데 용 되겠다

    • 운 : 용신운(격용)에 들어가다 → 부모복을 넘었다, 부모의 성공을 뛰어 넘었다

                                                     자녀가 용신운을 못살면 부모가 계속 건사해야 한다.

          용신운 → 분가,   기신운 → 부모밑에 들어가 산다.

          격이 큰데 작은 용신(용신이 격을 못 감당하는것)이 오면 부모의 의지를 바란다.

 

 戊 丙                    壬 癸

 辰 寅(월)              戌 亥 (대운)


- 편인을 제화하는 편재용

- 편재가 없다 → 결혼을 못한다.

- 재 대운을 산것은 격에 대한 대항을 한것이다.

- 격을 놔두고 억부로 산다는것 → 직업이 바뀌지 않는다

                                                 사람이 바뀐다

                                                 삶의 질이 바뀐다.

- 격이 근을 내리면 고집스럽고 타협을 안본다

- 격은 근을 내리지 말고 생 받아야 한다.

- 일간이 신약하면 격과 격용 모두 감당하기 어렵다


예문4)

丙 戊 乙 己

辰 戌 亥 亥 坤

 

1. 편재격에 乙목 격용

2. 木 운이 들어오면 격용이 커져서 크게 벌린다

3. 격>격용 → 과욕 부리는 사람 아니다.

4. 격<격용 → 차보다 차수리비가 더 많은 격이다

                    손실이 투자금(자본금)보다 크다

                    환경보다 내가 더 잘낫다.

5. 결혼 → 안한다,   이유 → 환경에 대한 대항력이 없다.

5. 식신=실력, 상관=능력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至炫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