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연진결/홍연진결 제5장 제방편

[스크랩] 2. 수험水驗과 한험旱驗(홍연진결 24쪽)

참빛살 2010. 10. 26. 00:18

2. 수험水驗과 한험旱驗(홍연진결 24쪽)

수험

1.

계사

경신

임술

계묘

57

연지

관성

02

75

월지

부모

지3

간9

66

시지

93

재성

20 

부모

 

11

84

39

일지

단정하여 말한다. 16수가 16수를 만나니 병인 정묘일에 큰비가 오고, 임술 계해 갑자일에도 모두 비가 오며, 갑술 을해 임신 계유일에도 또한 모두 비가 온다. 이는 중궁이 세궁의 관성을 돕고 세궁이 월궁 위에 부모를 돕기 때문에 또한 비가 오는 것이다.

2.

무술기미정사경자

02기병일지

57

신경직부

20 을무

월지

지8

간4

11

계을

48

/정부모

75병임

 

66

임신

39

무정/기

시지

84

경계연지재성

단정하여 말한다. 16수가 16수를 만나면 이는 비가 오는 형상이고, 세궁이 중궁의 부모를 극하면 이는 가뭄의 형상이다. 이 절기 안에 비가 왔다가 다시 개고 개었다가 도리어 비가 온다. 소서 중원2국 홍8국에 시간이 목욕의 땅에 앉아서 계는 1수를 만나고 임은 6수를 만났다. 단지 시간 위에 7화가 임하기 때문에 날마다 비가 오지 않은 날이 없고 날마다 햇볕이 들지 않은 날이 없다.

3.

계유신유무신무오

73

28시지

91일지

지9

간1

82

19

부모

46연지월지

 

37

00

55

단정하여 말한다. 16수가 연월일 세 곳에 있으니 또한 수가 왕하다고 말한다. 중궁의 부모가 동하고 또 천반의 수가 와서 생함을 받기 때문에 빗물이 길게 흐른다.


4.

임진정미을유계미 

38연지

83

56

월지시지

지4

간7

47

74부모

01 일지

 

92

65

관귀

10 

관귀

단정하여 말한다. 월일시 세 곳에 16수가 보이니 이는 수가 왕하다. 또 중궁에 부모가 동함이 보이니 빗물이 아래로 내려간다. 그러나 16수가 위에 5십토의 극을 받으니 무기戊己 4계일四季日에는(진술축미일이다. 역자 주.) 비가 오지 않으며, 비록 비가 올지라도 적다. 또한 수를 이어서 수상水象인데 관귀를 타기 때문에 물이 많다.

5.

기해경오병오갑오

40 

95

월지일지시지

68 관귀

지6

간8

59

86

재성

13관귀

 

04

77

22연지

단정하여 말한다. 월일시가 모두 토가 왕하니 흙비 같고 안개 같다. 27화가 27화를 만나니 가뭄이 있다. 그러나 38목귀가 그 수의 생함을 받기 때문에 경신 신유 갑을 인묘일에 비가 있다. 대개 수를 이면 수상이다.


한험

6.

갑술경오을미임오

70 신계사문천심태음

25

을무경문천봉등사월시

98 기병휴문천임직부일지

지6

간1

89경정생문천주육합

16

/임부모

43정경경문천충구천

 

34병임/기개문천예백호

07

무을두문천영현무

52계신상문천보구지연지

단정하여 말한다. 1과 6이 합하고 16수가 중궁에 동하니 비록 비가 올 형상으로 보이지만, 1수가(10토이다. 역자 주.) 손궁의 땅에 있어서 순공旬空을 만나기 때문에 비가 오려고 하나 내리지는 않는다. 또 세월시가 모두 화이고, 일진의 목이 이를 도우니, 또한 가뭄의 형상이다. 더구나 화가 수 위에 더함을 보니 물이 고갈한다. 하지 상원9국 홍6국에 천영이 아래 7화와 합하고, 경문景門이 아래 6병과 합하며, 시간이 중궁에 들어가기 때문에 한 절기가 모두 가물다.




7.

무술무오을유계미

03

58

월지

21시지

지9

간4

12

49

부모

76일지

 

67 

30 

85연지

단정하여 말한다. 16수가 일진 시궁에 있으니 비록 비가 왕하게 보이지만, 27화가 16수 위에 더하기 때문에 맑다. 바야흐로 중궁 부모인 경신 신유일에 이르러 비가 조금 온다. 대개 화가 수 위에 더하면 수가 고갈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8.

무술무오신축신묘

40 

95

월지

68

지6

간8

59시지

86

자손

13

 

04일지

77관귀

22연지관귀

단정하여 말한다. 27화가 27화를 만나고 관귀가 27화를 만나기 때문에 한 절기가 모두 가물다. 또 중궁이 세궁 위에 관귀를 극하기 때문에 또한 가뭄의 형상이다.

9.

기해신미정축경자

34

89

52월지 

지5

간7

43

75

재성

07

 

98일지

61시지

16연지

단정하여 말한다. 16수가 16수를 만나고 16수가 해자의 땅에 있으므로 수가 극에 이르러 도리어 화가 생기며, 또 중궁이 세궁 위에 수모를 극하기 때문에 한 절기 모두 가물다.

10.

임진병오기사갑술

76세지일지

21

월지

94

지2

간1

85

12

재성

49

 

30 

03

58시지

단정하여 말한다. 세월일이 모두 수를 위주하고 수가 왕하기 때문에 무진 기사 경오일에 비가 있다. 천반의 화가 왕한 땅에 임하여 수가 약하고 화가 왕성하기 때문에 비가 적다. 대개 화가 수 위에 더하면 수가 고갈한다.

출처 : 홍연진결연구소
글쓴이 : adaseju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