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청명강의내용

[스크랩] [2008년 5월 3일 청명님 강의] 합, 형충회합 12

참빛살 2008. 7. 4. 21:04

丁巳월       입하절기의 시작

 

※ 丁火 - 천간의 혼잡 유무를 본다 (일간 포함)

    - 천간 혼잡 → 지저분한 일

    - 겁재 혼잡 → 돈과 사람

    - 인성 혼잡 → 관재구설

    - 식상 혼잡→ 일거리가 늘어난다.

    - 재 혼잡 → 멀리 간다 / 역마

    - 관 혼잡 → 책임질 일 / 행동대장

 

※ 巳火 - 용신과의 관계를 본다.

 예문1)

O 戊 丙 己

O     寅 酉  巳

           ┗━┛

巳酉合 → 용신 酉금을 극하여 활동하게 만든다.

               寅목이 있어 더 빠르다.

               酉丑 - 금이 된다.

               酉辰 - 금이 안된다 (합거)


巳 - 卯 : 자르며 큰다

午 - 卯 : 구부러 진다. 나무가 金기가 없으면 구부러 진다.

巳 - 子 : 충돌, 눈물 흘릴 일이 있다(암합)

             木 없으면 수화상전, 木 있으면 火가 커지기 시작한다.

午 - 子 : 같은 충돌이지만 깨끗하다.

巳 - 亥(木) : 빠른 해결/속전속결

                   亥수는 木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巳화를 보면 움직인다.

                   겨울 나무가 火를 본 것이다.

巳 - 申 : 발전 될 소지 / 관청에 등록을 한다든지 한다.

巳 - 午 : 火기가 너무 강해진다 / 혈압조심

 

예문2)

辛 癸 庚 甲

酉 巳 午 寅 

 

1. 丙화 → 도식 / 병이 생긴다

2. 편인이나 인성 혼잡이나 똑같다.

3. 丁화 - 인성 혼잡에서 벗어난다 / 바른 생각이 선다.

4. 巳화 - 회합을 깨지 못하고 그대로 간다.

              丁巳가 시간을 조절하고 있어서 시간이 걸린다

 

※ 己土는 丙, 丁화가 다 필요하다.

   戊土는 丙火가 필요하다 → 丙화는 망가진다.      

                                          戊토는  丁화가 들어오면 주변 환경이 따뜻해진다.

 

일진 = 출행점

월운 = 절기날 전후로 일을 저지르는 것 → 인성혼잡, 편인

          모든 혼잡은 월에서...

 

※ 편인 - 한사람만 자기를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달라붙으면 넌덜머리 난다.

              편인과 인성혼잡이 같이 살면 힘들다.

              년상, 월상이 더 골치 아프다.

              편인 火가 습해지면 → 가슴의 병 / 애정이 잘못된 것

              편인 木이 습해지면 → 머리의 스트레스 / 생각이 잘못된 것

※ 편재 - 많은 걸 갖고 많은데를 간다.

※ 재극인 - 재인지 인성인지 선택 해야 한다.

                 운에서 어디로 밀어줘야 하는지 봐야 한다.

 

※ 용신이 많으면 과욕을 부린다 / 희망적인 생각을 한다.

    용신이 적으면 자신감이 결여된다.

    용신이란 운이 와서 원국을 두들겨 패면 생각과 마음이 따로 논다.

 

성격 - 팔자에서

마음은 - 운에서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至炫 원글보기
메모 :